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점점 기울어 가던 일본과의 전쟁, 일본 수군의 330척 배와 조선 수군의 12척의 배는 조선의 바다 명량에서 위대한 전쟁이 시작된다.

    영화 명량 포스터

    영화 명량 정보 및 줄거리

    영화는 임진왜란이 막바지에 접어든 1597년이다.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당하고 한양으로 압송되어 고문을 받고 있었다. 그 사이 이순신을 모함하고 삼도수군통제사의 자리에 오른 원균이 이끌던 조선 수군은 거제도 앞바다 칠천량에서 궤멸당하고, 왜군은 임진년 이후 처음으로 전라도 땅을 휩쓸며 남원성과 전주성을 함락시켜 다시 한양으로 북상할 계획을 세우게 된다. 이후 가까스로 고문에서 살아남아 백의종군 중이던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되고, 진주, 구례, 순천, 보성을 거치면서 무기와 군사를 수습하려 애쓴다. 이순신은 칠천량에서 살아남은 판옥선 12척을 인수하고 남해안 서쪽 끝 진도 벽파진에 보루를 세운다. 하지만 불과 50리 밖의 해남 어란진에서는 300척이 넘는 왜군 전선들이 속속 집결하고 있었다. 12척 대 330척이다. 심지어 대장선을 제외한 나머지 함선은 겁을 먹고 전부 뒤로 빠져 있는 상황이며 숫자는 물론이고 조류마저도 불리하지만 이순신은 험난한 울돌목의 조류를 이용하며 화포를 쏴 최대한 많은 왜선을 격침시킨다. 구루지마의 1군을 화포로 박살 낸 후 2군이 다가오는데, 조류가 너무 거세 화포 조준이 잘 되지 않자 이순신은 닻을 끊고 피섬 쪽으로 빠진다. 조류를 타고 빠르게 진격한 2군이 대장선을 포위하고 이순신은 조란탄을 사용해 근접한 선두 왜선의 왜적들을 날려버리고 백병전을 개시한다. 세키부네들이 대장선을 포위하여 창칼이 난무하는 치열한 백병전이 펼쳐지고 한 병사가 갑판에서 화약에 불을 붙여 폭발시킨다. 이순신은 갑판 아래쪽 문을 열고 모든 포를 한쪽에 모아 일제사격으로 왜선을 날려버린 후, 갑판의 왜적 잔당들을 몰살시키며 빠져나오고 이를 본 조선군과 백성들은 환호한다. 그리고 초요기를 올리자 판옥선 두 척(거제현령 안위, 미조항첨사 중군장 김응함)이 전투를 위해 대장선으로 다가온다. 구루지마는 회오리가 완전히 형성되기 전에 최대한 빠르게 함선들을 돌격시키고 심복인 저격수를 시켜 초요기를 올리는 것을 저지하려 한다. 구루지마는 휘하 함대에 포격을 하는 판옥선에 돌격할 것을 지시하나 모든 배가 회오리에 휘말려 돌격이 불가능했다. 부하가 속히 지원을 요청하라고 하지만 구루지마는 "네놈은 눈치가 없구나. 도와주려면 진작 왔을 것이다."라고 하며 이순신을 직접 죽이기 위해 대장선에 월선한다. 적, 아군 가리지 않고 방해하는 모든 것을 베거나 밀치며 나아가는 구루지마이다. 그 앞을 준사가 막아서며 오른손의 칼로 구루지마의 칼을 받아내고 왼손의 칼로 구루지마의 옆구리를 찌른다. 준사를 본 구루지마는 악에 받쳐"네놈은 열도인이냐, 조선인이냐!"라고 소리치며 준사를 밀쳐내고 돌격하나 이내 화살세례를 받고 주저앉는다. 그럼에도 마지막 힘을 쥐어짜 내 최후의 발악으로 이순신에게 돌격한 구루지마는 이순신에게 참수당하고 만다. 구루지마가 참수당하고 목이 대장선에 걸리자 와키자카와 도도의 일본 본대가 참전하는데 이번에는 대장선의 처절한 투혼을 본 나머지 판옥선들도 모두 전투에 참여하고 물살이 조선 측에 유리하게 바뀐 상황에서 일자진을 펼친 판옥선들이 충파로 왜선들을 박살 내버린다. 전쟁을 보고 있는 노인은 판옥선의 충파를 보며 귀선 즉 거북선이 부활했다며 오열한다. 와키자카는 다 같이 죽겠다는 거냐며 분노의 외침을 터뜨리고 도도는 출정 전 "대도무문"이라고 자신이 쓴 글을 씁쓸한 표정으로 보다가 퇴각명령을 내린다. 화포사격으로 왜선들을 몰아내 이렇게 명량해전은 조선의 승리로 끝난다.

    촬영장소 및 에피소드

    주된 촬영 장소는 광양시, 해남군, 고흥군, 부안군 등이며 영화의 주요 해전 장면은 광양항 근처의 세트장에서 촬영하였다. 우연히도 광양항은 이순신이 마지막으로 싸운 순천 왜 교성, 노량(노량 해전)과 매우 가까운 곳이다. 영화 촬영을 위해 광양항 부두를 임대해 초대형 세트를 제작했고 짐벌이라 부르는 입체적인 움직임 구현이 가능한 장비 위에 실제 크기에 근접한 판옥선, 안택선, 세키부네 세트를 올려서 현장감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세트용이 아닌 실제 바다에서 운항이 가능한 판옥선, 안택선, 세키부네를 제작하였고 해전 장면은 이들 함선을 실제 바다 위에 띄워놓고 촬영을 하였다. 이는 제작사 측에서 밝혔다시피, 후속작 제작이 진행될 경우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한 것들이며 이번 작품에서 얻은 교훈을 반영해 차기작에 잘 반영한다면 보다 더 훌륭한 사극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화 명량 국내 및 해외 반응

    관객과 평론가가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요소는 바로 해전의 완성도이다. 극 중 2/3라는 꽤 많은 요소를 해전에 할애하고 있음에도 그 시간이 짧게 느껴질 정도로 굉장히 뛰어나면서도 몰입감 높은 해전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고증상으로 보면 아쉬운 요소가 많다는 점이 있으나 이를 감안해도 볼거리는 충분하다는 평가가 많다. 또한 철쇄설 등 꽤 많은 오류가 있는 명량 해전 관련 영상물에서 고증대로 대장선이 홀로 일본군을 받아내다 역전했다는 고증상 전개를 착실히 지킨 작품이기도 하다. 물론 세부적으로 보면 고증오류가 많으나 적어도 대전제부터 틀려먹었던 기존 작품들에 비하면 꽤 큰 발전인 셈이다. 또한 지나치게 과장된 왜군의 조총 화력이나 일본 군선과 판옥선의 체급 차이 등을 현실 고증에 맞췄다는 호평도 있다. 실제로 작중에서 왜군의 조총은 그나마 대조총 정도가 아군의 방패에 충격을 주는 수준이고 이외의 조총은 시종일관 판옥선의 선체와 방패에 막혀 제대로 피해를 주지도 못했다. 그나마 조총에 의해 저격당한 병사들도 방패의 틈이나 사각에 있어서 당한 경우가 부지기수일 정도이다. 실제 일본군 군선과 조선군 판옥선의 체급 차이도 나름 고증을 맞춰 판옥선이 왜군 세키부네보다 0.5~1층 정도 더 높게 묘사되고 있다. 거기다 작중 이순신 역을 맡은 최민식 특유의 무게감 있는 포스와 목소리도 호평의 요소이기도 하다. 명량 해전은 그 특성상 이순신이 가장 포커싱 되는 작품이기 때문에 그만큼 이순신의 무게감이 중요했는데 최민식이라는 적절한 배우를 캐스팅함으로써 그 무게감을 충족시켜 줬다는 평가이다.

    명량이라는 영화를 보고

    나라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나라에서 나를 버리고, 임금이 나를 버리고 벌한다면 어떠했을까? 이기는 방법을 제시해도 의견이 묵살되고 결국 준비했던 모든 것들이 파괴되고 그 흔적이 미미하다면 나는 어떻게 했을까? 하는 생각말이다. 이순신장군은 지금은 영웅이지만 정말 외롭고, 짜증 나고, 힘들고, 괴로웠을 것이다. 그리고 부하들 조차 제대로 따라주질 않았으니 말이다. 이 모든 것을 딛고 일어서서 12척으로 330척에 맞서서 승리를 거둔 이순신 장군이다. 전 세계 역사적으로도 전무후무한 일이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는 것에 자랑스럽다. 그리고 지금의 나 자신을 뒤돌아 본다. 나는 어떠한가? 오늘의 나는 이순신 장군의 명량이라는 영화를 보고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말이다.

    반응형